//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사성어9

중과부적이란? : 역사적 사례와 현대적 해법 중과부적의 한자는 다음과 같습니다.中 (중): 가운데, 중간過 (과): 지나치다, 넘다不 (부): 아니다, 없을敵 (적): 적, 상대따라서 "중과부적"은 "상대의 힘이 너무 강해 도저히 이길 수 없는 상황"이라는 뜻으로, 주로 불리한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중과부적(衆寡不敵)이란 무엇일까요? 뜻과 유래, 그리고 현대적 의미중과부적(衆寡不敵)은 "수적으로 많은 자와 적은 자가 싸울 때, 적은 쪽이 이길 수 없다"는 뜻입니다. 고대 중국 전국시대부터 사용된 이 고사성어는 단순한 군사 전략을 넘어, 현대 사회의 경쟁, 사회적 불평등, 자원 격차 등 다양한 상황에 적용되는 보편적인 진리입니다. 수적으로 열세인 상황에서 승리하기 위한 전략과 노력, 그리고 사회 시스템의 공정성 확보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 2024. 12. 10.
촌철살인의 뜻과 유래: 역사적 맥락으로 본 깊이 있는 해석 촌철살인(寸鐵殺人)은 '한 치의 쇠로 사람을 죽인다'는 뜻의 사자성어로, 짧고 간결한 말로 상대방의 약점이나 핵심을 정확히 지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고사성어의 깊은 의미와 유래를 살펴보며, 현대 사회에서의 적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촌철살인의 정확한 의미촌철살인의 한자를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寸 (촌): 마디, 짧은 길이鐵 (철): 쇠殺 (살): 죽이다人 (인): 사람즉, '짧은 쇠로 사람을 죽인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죽인다'는 것은 실제로 사람의 목숨을 빼앗는다는 의미가 아니라, 상대방의 마음을 꿰뚫거나 깊은 감동을 준다는 비유적 표현입니다.촌철살인의 역사적 유래이 사자성어의 유래는 중국 남송(南宋) 시대의 학자 나대경(羅大經)이 지은 《학림옥로(鶴林玉露)》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 2024. 10. 23.
2022 올해의 사자성어 과이불개(過而不改) 한자와 뜻 알아보기 교수신문은 2001년부터 올해의 사자성어를 선정해 발표하고 있는데 2022년 올해의 사자성어는 과이불개(過而不改)로 선정되었습니다. 과이불개에 이어서 욕개미창(慾蓋彌彰 : 덮으려고 하면 더욱 드러난다), 누란지위(累卵之危 : 여러 알을 쌓아놓은 듯한 위태로움), 문과수비(文過遂非 : 과오를 그럴듯하게 꾸며내고 잘못된 행위에 순응한다), 군맹무상(群盲撫象 : 좁은 소견과 주관으로 사물을 그릇되게 판단하다)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과이불개 한자 過 지날 과, 재앙 화 1. (지날 과) 2. 지나다 3. (지나는 길에) 들르다 부수 辶 (책받침 2, 4획) 총획 13획 而 말 이을 이, 능히 능 1. (말 이을 이) 2. 말을 잇다 3. 같다 부수 而 (말이을 이, 6획) 총획 6획 不 아닐 부, 아닐 불 1.. 2023. 2. 13.
읍참마속(泣斬馬謖)의 뜻과 유래를 알아보자 여러 분야에서 인용되는 사자성어인 읍참마속의 뜻이 궁금하신가요? 읍참마속은 울면서 마속의 목을 벤다는 뜻으로 아무리 소중한 사람일지라도 규칙을 어겼을 때는 법에 따라 공정하게 심판해야 함을 이야기하는 말로 공정성을 요구할 때 주로 사용하는 말입니다. 읍참마속 한자풀이 泣 울(읍) 물의 삼수변(氵, 水)과 땅에 선 사람을 본뜬 립(立)으로 이루어진 글자로 사람이 소리 없이 눈물을 흘린다는 뜻입니다. 斬 벨(참) 수레 차(車)와 도끼 근(斤)으로 이루어진 글자로 수레에 실은 무기로 적을 벤다 하여 베다는 뜻입니다. 馬 말(마) 곧게 서 있는 말을 본떠 말이라는 뜻입니다. 謖 일어날(속) 말하다의 언(言)과 날카로울 측(畟)으로 이루어진 글자로 일어나다는 뜻입니다. 읍참마속의 유래 읍참마속은 삼국지에서 유래된.. 2023. 1.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