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사성어9 삼고초려(三顧草廬)의 뜻과 유래 어릴 적에 만화 삼국지를 즐겨 보았었는데 그 안에서 삼고초려라고 하는 유명한 단어를 본 기억이 어렴풋이 납니다. 오늘은 이 삼고초려라는 말의 뜻과 유래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볼 텐데,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이 삶에서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삼고초려 한자 뜻풀이 三 석 (삼) 세 손가락을 옆으로 펴거나 나무젓가락 세 개를 옆으로 놓은 모양을 나타낸 상형문자로 셋이라는 뜻입니다. 顧 돌아볼 (고) 왼쪽 고(雇)가 소리를 담당하는 글자이고 오른쪽 부수가 머리를 뜻하는 글자 혈(頁)로 머리를 돌려보다, 돌아보다 라는 뜻입니다. 草 풀 (초) 부수 초두머리(艹, 艸)가 풀, 풀의 싹을 뜻하는데 처음에는 초(艹)로 썼지만 나중에 조(早)를 곁들여 초(草)로 쓰게 되었습니다. 廬 농막 집 (.. 2022. 12. 2. 토사구팽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문자 그대로 해석한다면 토끼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를 삶아 먹는다는 뜻으로 필요할 때는 중요하게 쓰지만 필요없어지면 버림받는 다는 뜻입니다. 최근들어 정치관련기사에서 자주 보게 되는 고사성어인데 토사구팽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토사구팽 한자 뜻 풀이 兎 토끼 (토) 긴 토끼 귀와 짧은 꼬리를 본떠 토끼라는 뜻을 가진 글자입니다. 死 죽을 (사) 죽을사 변(歹, 歺)은 산산이 흩어지는 뼈를 나타내고 여기에 사람 인(人) 변형 글자 비(匕)를 더해 사람이 죽는다는 뜻입니다. 狗 개 (구) 개의 개사슴록 변(犭, 犬)과 소리를 나타내는 구(句)로 이루어진 글자입니다. 烹 삶을 (팽) 솥을 본 떠 삶는다는 뜻의 형(亨)과 불의 불화 발(灬, 火)로 이루어진 글자입니다. 토사구팽 유래 이야기 토사구팽의 유래.. 2022. 11. 29. 새옹지마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봅시다 인생사 새옹지마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변방에 사는 늙은이의 말이라는 뜻으로 주로 나이가 지긋하신 어른들을 통해 듣게 되는 말인 만큼 세월이 녹아들어 있는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새옹지마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새옹지마 한자 풀이 塞 변방 (새) 글자 아래 흙 토(土)가 부수로 쓰여 흙으로 막는다는 뜻인데, 떨어지다는 뜻도 있어서 멀리 떨어져 있다 하여 '변방'의 뜻이 나왔습니다. 翁 늙은이 (옹) 공(公)과 우(羽)로 이루어진 글자입니다. 공(公)은 관청, 벼슬의 뜻하는 말로 나라에서 인정해 주는 사람을, 우(羽)는 새의 목덜미 깃털을 뜻하는데 옛날에는 노인에 빗대어 썼습니다. 나라가 인정하고 존중해 주는 노인을 뜻합니다. 之 어조사 (지) 출발선에서 한 발짝 내딛음을 나타내므로.. 2022. 11. 22. 결초보은(結草報恩)의 유래와 뜻 결초보은이라는 말은 여러 곳에서 많이 들어보았지만 정확하게 무슨 뜻인지는 잘 알지 못했습니다. 한자단어 그대로 뜻풀이를 한다면 풀을 묶어 은혜를 값는다는 뜻인데 어디서 유래되었으며 정확한 뜻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결초보은 한자풀이 結 맺을 (결) 실타래의 사(糸)와 단단히 죄다의 길(吉)로 이루어진 글자로, 실로 단단히 얽어 묶는 '맺다'라는 뜻을 지녔습니다. 草 풀 (초) 부수 (艹, 艸)가 풀 또는 풀의 싹을 뜻하며 처음에는 초(艹)로 썼지만 나중에 조(早)를 곁들여 초(草)로 쓰게 되었습니다. 報 갚을 (보) 수갑, 족쇄의 행(幸)과 사람을 복종시키는 모양을 본뜬 오른쪽 글자로 이루어졌습니다. 죄를 짓고 대가를 치른다는 의미로 갚다 라는 뜻의 단어입니다. 恩 은혜 (은) 애지중지 아끼는 인(因.. 2022. 11. 21.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